소음기준 및 측정방법59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4)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4) [시행 2021. 6.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44호, 2021. 6. 7., 전부개정.] [별표 2]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제15조제1항 관련) ▷소음지도의 작성방법 소음지도의 작성 방법 [일부 개정] 소음지도의 작성방법 [환경부고시 제2021–54 호, 2021년 3월 18일, 일부 개정] 제2조(정의) 이 고시에서 "소음지도"란 일정지역을 대상으로 도로·건물 등 정보와 측정 또는 예측된 소음도를 등음선 inertance.tistory.com 소음측정 관련 문의는 02-707-1545 또는 admin@inertance.com으로 연락바랍니다. 주식회사 이너턴스 2022. 1. 20.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3)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3) [시행 2021. 6.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44호, 2021. 6. 7., 전부개정.] 제5장 항공기 소음측정기기 관리 제20조(규격 및 관리) ① 항공기 소음측정에 사용하는 기기의 규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소음계는 KS C IEC 61672-1에서 정한 클래스 2의 소음계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 2. 소음도 기록기는 주파수 범위가 소음계의 주파수 범위를 만족할 것 ② 소음측정기기의 조작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소음계와 소음도 기록기를 연결하여 측정ㆍ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소음도 기록기가 없을 경우에는 소음계만으로 측정 2. 소음계 및 소음도 기록기의 전원과 기기의 동작을 점검하고 매회 교정을.. 2022. 1. 17.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2)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2) [시행 2021. 6.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44호, 2021. 6. 7., 전부개정.] 제4장 항공기 소음영향도 작성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ㆍ고시 방법 제15조(항공기 소음영향도 계획수립 등) ① 항공기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는 별표 2와 같다. ② 소음영향도 조사계획과 결과는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이하 "영"이라 한다) 제2조 제10항에 따라 주민의 의견을 듣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다만, 소음측정지점은 해당 공항의 자동소음측정망 설치위치, 과거 소음영향도 조사에서 측정된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제16조(항공기 소음영향도 작성방법 등) 항공기 소음영향도는 ICAO Circu.. 2022. 1. 13.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1)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1) [시행 2021. 6.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44호, 2021. 6. 7., 전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지침은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 및 제10조,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제4항에 따라 소음영향도의 조사, 소음대책지역의 지정ㆍ고시 및 항공기 소음측정 기준, 방법, 자동소음측정망 설치 등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장 항공기 소음 일반측정 제9조(측정범위) 항공기 소음의 일반측정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및 주민지원시설 등 자동측정망이 없는 지역의 소음측정 2. 주택방음공사 시행 후의 차음효과 확인 3. 주민 또.. 2022. 1. 10. 플랜트 소음 기준 (석유화학공장) 플랜트 소음 기준 (석유화학공장) 플랜트 상업 운전 시 펌프, 모터, 압축기 등의 회전기계와 밸브 및 배관 등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소음을 제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플랜트 내부 소음 기준을 자체적으로 적용하여 운영한다. 부지경계선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은 일반적으로 해당 플랜트가 위치한 Local regulation에 근거하여 적용하며, 이에 본 페이지에서는 플랜트 부지경계선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1. Work Area Noise LimitWork Area 는 일반적으로 Pump, Compressor 등의 소음원으로부터 1 meter 이상 이격된 공간으로 정의하며, Platform, Ladder, Walkway 등 공장 내부에서 작업자가 접근할 수 .. 2021. 12. 7. 소음지도의 작성 방법 [일부 개정] 소음지도의 작성방법[환경부고시 제2021–54 호, 2021년 3월 18일, 일부 개정] 제2조(정의) 이 고시에서 "소음지도"란 일정지역을 대상으로 도로·건물 등 정보와 측정 또는 예측된 소음도를 등음선이나 색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지도를 말한다. 제3조(적용대상) 이 고시에서 정하는 소음지도의 대상소음원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도로소음 2. 철도소음 3. 공장소음, 사업장소음 등 기타 소음 ② 도로소음 및 철도소음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에 대해서는 각각의 소음지도와 복합소음지도를 함께 작성한다. 제5조(소음지도의 작성 등) ① 소음지도의 작성은 별표 1에서 정한 절차에 따른다. ② 소음지도의 작성방법은 별표 2와 같다. 제7조(소음지도에 대한 의견수렴) 시·도지사는 소음지도가 작성된.. 2021. 12. 6. 실내소음기준 (NC, Noise Criteria) 실내소음기준 (NC, Noise Criteria) NC는 대화방해, 시끄러움 등 사람의 통상적인 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를 감안한 평가량으로 해당 소음이 생활에 얼마나 지장을 초래하는지를 나타낸다. 이 평가량은 생활방해 정도가 동일한 음압 레벨을 연결하여 작성된 NC 곡선도에서 1500Hz의 음압레벨로 나타낸 값이다. 측정된 소음의 NC값은 측정된 소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모든 소음성분이 그 이하에 드는 NC 값을 그 소음의 NC 값으로 한다. 미국 공종냉동기술자협회(ASHRAE)에서는 아래와 같이 각 실별 용도에 따른 실내소음기준(Noise Criteria)을 권장하고 있다. [ 실내소음기준, NC-Noise Criteria ] 실명NCdB(A)실명NCdB(A)개인주택25~3035호텔의 서비스 구역40~50.. 2021. 11. 23. 저주파소음 측정 방법 저주파소음 측정 방법 소음‧진동으로 인한 민원발생 시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른 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심리적‧생리적 영향을 발생시키는 저주파 소음의 영향을 판단할 수 없어 관리의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저주파소음 가이드라인]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였으며, 해당 지침에서는 일반적인 소음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는 저주파 소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판단방법과 관리절차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용어의 정의-“주파수”란 음파가 1초에 진동하는 횟수로서 헤르츠(㎐)로 표시하며, 통상 20㎐ ~ 20,000㎐를 가청주파수라고 한다.-“저주파 소음”이란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 영역이 주로 100㎐ 이하인 성분을 말한다. -“옥타브”란 주파수가 두.. 2021. 11. 5. 군용비행장 소음측정-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제정 국방부 예규 제615호(2020. 3. 25.)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제3장 군용비행장 소음 측정 제6조 평균 배경소음도 조사 ① 군용비행장 또는 군사격장의 평균 배경소음도(LA,avg)는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를 위한 소음영향도 조사 과정에서 비행장 또는 사격장 별로 각각 조사한다. ② 평균 배경소음도(LA,avg)의 산정은 소음측정 전체 기간 동안 측정지점별로 측정된 배경소음도(LA,avg,p)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다. ③ 제2항에서의 측정지점별 배경소음도(LA,avg,p)는 매 시간대 별로 측정된 L95 소음통계레벨(dB(A))의 평균값으로 하며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 여기서, n은 1시간 단위 L95 소음통계레벨 산출횟수, Li는 매시간대 별로 측정된 L95 소음통계레벨 .. 2021. 9. 13. 소음 관련 용어의 정의(제2조 관련)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소음 관련 용어의 정의(제2조 관련) 1. “소음도”란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를 통하여 측정된 지시치를 말한다. 2. “배경소음도”란 측정위치에서 대상소음이 없을 때 이 지침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를 말한다. 3. “측정소음도”란 본 지침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를 말한다. 4. “대상소음도”란 측정소음도에 이 지침에서 정한 방법으로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5. “최고 소음도(Lmax)”란 대상 소음 발생시 측정한 소음도 중 최고값을 나타내는 소음도를 말한다. 6. “1초 등가소음도(Leq,1s)”란 1초 동안 발생한 소음을 등가하여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7. “A-가중 1초 등가소음도”란 A특성을 가중하여 1초마다.. 2021. 9. 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