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5 풍력발전기 소음 기준 풍력발전기 소음 기준 1. 풍력발전기 소음 기준치 (생활소음 규제기준)풍력발전기 운영 시, 소음 영향에 따른 소음 목표 기준은 [육상풍력 개발사업 환경성평가 지침, 2022.01, 환경부]에 의거하여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8, ‘생활소음 규제기준’의 적용항목 중 사업장 소음원의 ‘기타’ 기준을 적용한다. [풍력발전기 소음 기준, 생활소음 규제기준] 2. 풍력발전기 소음 기준 (저주파소음)풍력발전기 가동에 의한 저주파소음의 기준은 [저주파소음 관리 가이드라인, 2018, 환경부]에 따라 주파수별 (12.5 ~ 80Hz) 목표 기준을 적용한다. 저주파소음의 측정은 [소음진동공정시험기준]의 생활소음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함. 청감보정회로는 보정값이 없는 Z특성을 적용함. 주파수는 1/3.. 2025. 3. 27. 공동주택(아파트) 소음 평가 종류 공동주택(아파트) 소음 평가 종류 1. 바닥충격음 성능검사제도▶ 바닥충격음 성능검사 제도관련 근거 「주택법」 제 41조의 2(바닥충격음 성능검사 등)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14조의 2, 제60조의 2-11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검사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 2023-85호▶ 바닥충격음 성능검사 적용대상 22년 8월 4일 이후 「주택법」 제 15조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신청하는 공동주택(30세대이상)에 적용▶ 바닥충격음 사용검사 신청시기 바닥마감, 창호, 천정 등 마감공사가 완료되는 시기 고려 입주지정기간 시작일 60일 전까지 검사가 가능하도록 신청▶ 측정대상세대의 선정방법 및 검사 일정 측정세대 선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능검사 대상 세대 무작위 추출(선정 세대는 음원실이.. 2025. 3. 21. 층간소음 / 비층간소음의 구분 층간소음 / 비층간소음의 구분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약칭: 공동주택층간소음규칙]에 따라 층간소음은 아래와 같이 직접충격음과 공기전달음으로 구분됩니다. 직접충격 소음 :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공기전달 소음 :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층간소음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 급수, 배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기계소음 및 진동: 보일러, 냉장고, 에어컨(실외기 포함), 세탁기, 건조기, 운동기구, 청소기, 안마기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 (단, 운동기구, 청소기, 안마기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충격·타격음은 층간소음에 포함됨)인테리어 공사소음동물 활동으로 인한 소음 (개짖는 소리, 층.. 2025. 3. 19. ISO 20816-3 (1st Edition, 2022) Mechanical Vibration-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achine vibration, Part 3: Industrial machinery with a power rating above 15kW and operating speeds between 120 rpm and 30,000 rpm ISO 20816-3 (1st Edition, 2022)Mechanical Vibration-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achine vibration, Part 3: Industrial machinery with a power rating above 15kW and operating speeds between 120 rpm and 30,000 rpm 1. 적용 범위ISO 20816-3은 15kW 이상의 출력을 가지고 운전 속도가 120~30,000rpm에 해당하는 아래 기계 중 Site에서의 진동 기준치에 적용하며, RMS 단위로 평가한다. 40MW까지의 출력을 가지는 Steam Turbines and Generators 40MW을 초과하는 출력을 가지는 Steam Tu.. 2025. 3. 4. 생활소음 측정방법,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2024년 12월 개정) 생활소음 측정방법,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2024년 12월 개정) 1. 기기의 설정 - 소음계의 정감보정회로는 A 특성을 설정- 소음계의 동특성은 원칙적으로 빠름(Fast)모드로 설정- 소음계의 샘플주기는 1초 이하로 설정 2. 측정점 1) 일반사항- 피해가 예상되는 자가 거주하는 건물 또는 사업장의 경계로부터 1.0~3.5m 떨어진 지점 중 소음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지면 위 1.2 ~ 1.5높이. 2) 측정지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 - 장애물로부터 소음원 방향으로 1.0 ~ 3.5m 떨어진 지점으로 함. - 다만, 장애물로부터 소음원 방향으로 1.0~3.5m 떨어지기 어려운 경우, 장애물 상단 직상부로부터 0.3m 이상 떨어진 지점으로 함. - 또한,.. 2025. 2. 27. 도로교통소음 측정방법,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2024년 12월 개정) 도로교통소음 측정방법,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2024년 12월 개정) 1. 기기의 설정 - 소음계의 정감보정회로는 A 특성을 설정- 소음계의 동특성은 원칙적으로 빠름(Fast)모드로 설정- 소음계의 샘플주기는 1초 이하로 설정 2. 측정점 1) 일반사항- 도로교통소음에 의해 피해가 예상되는 자가 거주하는 건물 또는 사업장의 경계로부터 1.0~3.5m 떨어진 지점 중 소음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지면 위 1.2 ~ 1.5높이. 2) 측정지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 - 장애물로부터 도로교통 소음원 방향으로 1.0 ~ 3.5m 떨어진 지점으로 함. - 다만, 장애물로부터 도로교통 소음원 방향으로 1.0~3.5m 떨어지기 어려운 경우, 장애물 상단 직상부로부터 .. 2025. 2. 25. 소음대책지역의 지정,고시.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공항소음방지법 시행령, 2024) 소음대책지역의 지정,고시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공항소음방지법 시행령, 2024) 제2조(소음대책지역의 지정ㆍ고시) ①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에 따른 소음대책지역의 구역별 예상 소음영향도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제3종 구역의 경우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구별로 세분할 수 있다. 1. 제1종 구역: 가중등가소음도[Lden㏈(A)] 79 이상2. 제2종 구역: 가중등가소음도[Lden㏈(A)] 75 이상 79 미만3. 제3종 구역: 가중등가소음도[Lden㏈(A)] 61 이상 75 미만 ② 국토교통부장관은 법 제5조제1항에 따라 소음대책지역을 지정ㆍ고시할 때 제1항의 기준에 따른 소음대책지역의 구역에 연접한.. 2025. 2. 20. 건물 내 사업장 소음 측정방법 변경 (2024.12) 건물 내 사업장 소음 측정방법 변경 (2024.12)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8, 생활소음진동의 규제기준]에 따른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동일건물 내 사업장 소음측정방법, ES 03303.3c]가 2024년 12월 개정되었다. 측정지점과 관련된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다. [ 건물 내 사업장 소음측정방법 주요 변경사항 ]항목이전변경적용생활소음 규제기준의 사업장- 동일건물생활소음 규제기준의 사업장- 동일건물 및 기타 사업장측정위치사업장 종류에 따라 피해자 ‘실내 거주공간’ 또는 ‘창문밖 건물 외부’로 구분 적용사업장 종류 구분없이 피해자의 거주공간(실내)업종동일건물사업장- 체력단련장업, 체육도장업, 무도학원업, 무도장업, 골프연습장업, 야구장업- 음학학원 및 음악교습소- 단란주점, 유흥주점영.. 2025. 2. 18. Critical Spee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Critical Spee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왕복동 압축기는 피스톤(Piston) 왕복운동 시 크랭크 축(Crankshaft)에 높은 토크(Torque)가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비틀림 진동(Torsional Vibration)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해야 한다. 왕복동 압축기의 설계 코드인 API 618, 6TH (Reciprocating Compressors for Petroleum, Chemical and Gas Inductry Services)는 비틀림 진동 평가 시 고려하는 위험속도(Critical Speed)의 분리 여유(Separation Margin)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PI 618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 2025. 2. 10. 베이스플레이트 진동기준 (Baseplate Vibration Criteria)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베이스플레이트 진동기준 (Baseplate Vibration Criteria)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왕복동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의 베이스플레이트(Baseplate)는 운전 시 발생하는 여러가지 종류의 가진력(Excitation Force)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진동 설계(Vibration Criteria)에 대한 기준은 API 618에 언급되어 있다. 7.7.4.15 If specified, a dynamic analysis of the baseplate, including a modal analysis and forced response analysis, shall be performed. The mod.. 2025. 2. 4. 이전 1 2 3 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