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 / 비층간소음의 구분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약칭: 공동주택층간소음규칙]에 따라 층간소음은 아래와 같이 직접충격음과 공기전달음으로 구분됩니다.
- 직접충격 소음 :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공기전달 소음 :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층간소음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 급수, 배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기계소음 및 진동: 보일러, 냉장고, 에어컨(실외기 포함), 세탁기, 건조기, 운동기구, 청소기, 안마기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진동 (단, 운동기구, 청소기, 안마기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충격·타격음은 층간소음에 포함됨)
- 인테리어 공사소음
- 동물 활동으로 인한 소음 (개짖는 소리, 층견 소음)
- 상가(주상복합 상가 포함) 소음
- 사람 육성(대화·싸움·고성방가 등)
- 코골이, 도로 소음, 공사장 소음, 원인불명 소음, 냄새(담배·음식 등) 등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floor.noiseinfo.or.kr
'공동주택의 소음측정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아파트) 소음 평가 종류 (0) | 2025.03.21 |
---|---|
공동주택 내 층간소음 측정방법 (0) | 2023.09.04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성능검사 세부운영지침’의 요약2 (0) | 2023.08.25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검사기준’의 요약1 (0) | 2023.08.23 |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