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음34

EI Guidelines for AIV 고주파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음향 가진(Acoustic Excitation)은 배관 시스템 전체에 방사되므로 Pressure Let-down device 주변의 배관뿐만 아니라 Downstream Pipe를 포함하는 모든 배관 시스템의 불연속 구간에 대한 피로 파괴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배관의 불연속 구간은 Main Pipe에 연결된 보조배관의 접합부분과 배관 직경 확장/축소 구간을 의미하며, 최초 Pressure Let-down Device에서 발생한 음향 에너지의 거리감쇠 및 불연속 구간의 형식, 배관 재질 등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체 배관 시스템에 대한 피로 파괴 가능성(Likelihood of Fatigue Failure, LOF)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EI Guideline에서는.. 2020. 9. 17.
산업안전보건법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시행 2020. 4. 20] [고용노동부령 제251호, 2019. 4. 19, 일부개정] (1) 용어의 정의  가. 소음작업 :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 나. 강렬한 소음작업 : 다음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   ①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②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③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④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⑤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⑥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 2020. 8. 21.
소음지도의 작성방법 소음지도의 작성방법[시행 2019. 10. 17.] [환경부고시 제2019-190호, 2019. 10. 17., 일부개정.]  1. 소음지도 : 일정지역을 대상으로 측정 또는 예측된 소음도를 등음선이나 색을 이용하여 시각화한 지도.  2. 이 고시의 대상소음원  : 도로소음, 철도소음  3. 소음지도의 제출 및 검토  (1) 소음지도의 검증 시·도지사는 소음지도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의 자료(전자파일 포함)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① 지형정보를 생성하여 등고선 적용 및 건물의 높이 입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② 소음지도 작성 시 적용한 각종 영향인자 값(일반사항, 소음원 관련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③ 측정한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수음점(단일 수음점, 건물외벽 소.. 2020. 8. 7.
소음환경기준 및 측정방법 [소음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Leq dB(A) 지역 구분적용대상 지역기준낮(06:00~22:00)밤(22:00~06:00)일반 지역"가" 지역5040"나" 지역5545"다" 지역6555"라 지역7065도로변 지역"가" 및 "나" 지역6555"다" 지역7060"라" 지역75701. "가" 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녹지지역, 보전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 전용주거지역[의료법]에 따른 종합병원의 부지경계로부터 50m이내의 지역[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부지경계로부터 50m이내의 지역[도서관법]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부지경계로부터 50m이내의 지역 2. "나" 지역[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생산관리지역[국토의 계.. 2020.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