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음측정44

군용비행장, 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작성방법(제5조)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별표 3]군용비행장, 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작성방법(제5조) 1. 조사계획 수립 가. 기초조사는 다음 자료를 포함한다. 1) 자동소음측정망 측정값 분석 2) 군용항공기 종류, 운항, 항로 등의 운항자료 또는 화기, 사격 횟수 등의 사격자료 분석 3) 향후 군용비행장 또는 군사격장 운영여건 및 장래 개발계획 4) 기상자료 분석 등 기타 소음 분석에 필요한 자료 나. 조사계획은 소음대책지역 주민대표, 관할 지자체에서 추천하는 전문가(2인 이내)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립할 수 있다 2. 사업설명회 소음대책지역의 지자체, 지역소음대책심의위원회, 지자체 추천 전문가 및 주민대표 등에 소음영향도 조사계획(측정방법, 측정지점 등)에 대하여 권역별 등 사업설명회를 실시하여 의견.. 2021. 8. 25.
군용비행장, 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제4조)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별표2]군용비행장, 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제4조) 조사계획 수립○ 기초자료 조사○ 소음 측정지점 협의 및 선정(지자체 추천 전문가, 주민대표 참여)↓사업설명회○ 소음영향도 조사계획에 대한 사업설명회 실시○ 관할 지자체, 지역소음대책심의위원회 위원, 지자체 추천 전문가, 주민대표 참여↓소음영향도 소음측정○ 지자체 추천 전문가, 주민대표 입회하에 측정을 실시할 수 있음○ 측정시 배경소음도 및 평균배경소음도 조사○ 군용비행장해당 군용항공기 기종, 이착륙 시간, 활주로 이용 방향, 기상조건, 계류장 소음 등도 함께 조사○ 군사격장군사격 소음과 군사격장내 발생 소음 등도 함께 조사↓소음측정값자료정리 및 분석○ 측정값의 결과, 지점별 배경소음 등 자료 정리 및 .. 2021. 8. 23.
군사격장 소음 측정 -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군용비행장‧군사격장 소음영향도 조사 예규 제정 국방부 예규 제615호(2020. 3. 25.) 제4장 군사격장 소음 측정 제1절 소음 일반측정 제19조 측정범위 군사격장 소음의 일반측정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자동소음측정망이 없는 지역의 소음측정 2. 주민 또는 관할 지자체의 요구에 의한 소음측정 3. 소음등고선 작성을 위한 소음측정 4. 소음 실태조사를 위한 소음측정 제20조 측정조건 군사격장 소음의 일반측정 조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옥외측정을 원칙으로 하며, 소음계의 마이크로폰은 측정위치에 받침장치(삼각대 등)를 설치하여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현장 여건상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0.5 m 이상 떨어져야 한다. 2. 소음계의 마.. 2021. 8. 20.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 [시행 2018. 12.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776호, 2018. 12. 7.,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기준은 건축법 시행령 제53조,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제2항제4호 및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경계벽 및 간막이벽에 대한 차음구조의 인정 및 관리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용어의 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차음구조"라 함은 이 기준에 따라 실시된 품질시험의 결과로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하 "원장"이라 한다)이 차음성능을 확인하여 인정한 구조를 말한다. 2. "품질시험"이라 함은 차음구조.. 2021. 8. 11.
벽체 차음성능 측정 및 평가 방법 벽체 차음성능 측정 및 평가 방법 1. 벽체 차음성능 개요 ▪ 차음성능 측정방법은 KS F 2809 (공기 전달음 차단 성능 현장 측정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KS F 2862 (건물 및 건물 부재의 공기 전달음 차단 성능 평가 방법)에 준하여 분석, 평가함. ▪ 벽, 바닥, 문, 창호와 같은 건물 부재와 건물에서의 공기 전달음의 차단 성능에 관한 단일 수치 평가량(single-number quantities)을 정의 ▪ 건물 내부의 소음이나 실외 교통 소음과 같은 각종 소음원의 스펙트럼 차이를 고려하여 단일 수치 평가량에 부가할 조정값을 정의 ▪ KS F 2809에 따라 1/1 옥타브 밴드 또는 1/3 옥타브 밴드로 측정한 결과로부터 단일 수치 평가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 ▪ 공.. 2021. 8. 6.
[별표 4] 소음대책지역의 경계 설정 방법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 [별표 4] 소음대책지역의 경계 설정 방법(제18조제2항 관련) 1. 경계 설정의 원칙 가. 별표 3의 8호에 따라 소음영향도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 관계기관 협의 시 작성된 소음영향도와 다른 경계 설정 요구가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나. 경계 설정 시에는 경계 설정의 요구가 있는 법정동별로 지역(도시지역, 비도시지역)을 구분하고, 각 지역별로 아래의 기준에 따라 설정한다. 2. 지역의 구분 가. 도시지역 - 경계 설정 요구가 있는 법정동별로 소음영향도 조사 시에 조사된 경작지(토지등기부 상 지목이 전, 답, 과수원인 경우에 한정하며, 이하 같다) 면적의 해당 법정동의 소음대책지역 전체 면적(공항부지 제외)과의 비율이 전국 경작지 비율(최근 통계청 .. 2021. 7. 25.
[별표 3] 소음영향도 작성방법(제16조 관련)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 [별표 3]소음영향도 작성방법(제16조 관련) 1. 조사계획 수립 가. 기초조사는 다음 자료를 포함한다. - 자동소음측정망 측정값 분석 - 항공기 운항횟수, 항로 등 운항자료 분석 - 활주로 운영, 기종변경, 항로변경 등 향후 공항운영 여건 변경계획 - 기상자료 분석 등 기타 소음분석에 필요한 자료  나. 조사계획은 소음대책지역 주민, 지자체에서 추천하는 전문가(2인 이상)가 참여하여 수립할 수 있다.  2. 항공기 소음측정 가. 항공기소음 측정 시 주민 입회하에 실시 할 수 있다. 나. 측정 시 해당 항공기 기종별, 이착륙 시간, 활주로 이용 방향, 기상조건 등도 함께 조사 한다. 다. 측정값의 결과, 지점별 배경소음 등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한다... 2021. 7. 18.
[별표 2]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제15조제1항 관련)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 [별표 2] 소음영향도 조사의 절차(제15조제1항 관련) 조사계획 수립 ○ 기초자료 조사 ○ 조사지점 선정 ↓ 조사계획 주민설명회 ○ 소음영향도 조사계획에 대한 주민설명회 실시 ↓ 항공기 소음 측정 ○ 주민 입회하에 측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측정시 배경소음, 해당 항공기 기종별, 이착륙 시간, 활주로 이용 방향, 기상조건 등도 함께 조사 ↓ 항공기 소음측정값 자료정리 및 분석 ○ 측정값의 결과, 지점별 배경소음 등 자료 정리 및 분석 ↓ 소음영향도 작성 ○ 현재 소음영향도 작성 ○ 당해연도 소음영향도 작성 : 측정일을 기준으로 과거 1년간 기상, 운항자료, 자동소음측정 결과값을 고려 ○ 향후 5년, 10년 단위로 소음영향도 작성 ↓ 소음영향도의 검.. 2021. 7. 9.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 항공기 소음측정 및 소음대책지역 지정·고시에 관한 지침 [시행 2021. 6. 7.]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44호, 2021. 6. 7., 전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지침은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제5조 및 제10조,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7조제4항에 따라 소음영향도의 조사, 소음대책지역의 지정·고시 및 항공기 소음측정 기준, 방법, 자동소음측정망 설치 등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장 항공기 소음 일반측정 제9조 측정범위 항공기 소음의 일반측정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및 주민지원시설 등 자동측정망이 없는 지역의 소음측정 2. 주택방음공사 시행 후의 차음효과 확인 3. 주민 또는 관련기.. 2021. 7. 5.
교육환경평가서 - 소음, 진동 교육환경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7.4.12] [교육부고시 제2017-117호, 2017.4.12, 제정] 제1조 목적 이 규정은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6조, 제7조 및 같은 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5조, 제19조,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2조에 따라 교육환경평가서와 사후교육환경평가서의작성방법 및 작성기준과 교육환경평가서 작성·제출 대상, 제출방법 등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4조 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일반요건 ① 평가서 등은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를 두고 객관적, 논리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② 평가서 등을 작성함에 있어서 선정한 조사지역, 조사지점, 예측방법, 예측조건, 예측에 사용된 계수, 수치.. 2021. 6. 29.